AWS-3Tier 7

[AWS-3Tier] Petclinic 배포

git clone https://github.com/SteveKimbespin/petclinic_btc.git /home/ec2-user/petclinic_btc 1. petclinic 배포 어제 했던 톰캣까지의 설치를 마치고,,,오늘은 펫클리닉 배포를 해 볼 차례이다. 펫클리닉 배포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펫클리닉 자체의 용량은 그저그런데 요걸 메이븐으로 다운 받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암튼 시작! 1.1 petclinic 배포 먼저 git을 설치해준다. yum install git -y 나~중에 나오겠지만 이 git이라는 것.. 리소스를 관리하는 것에 있어 엄청난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레포지토리 하나를 생성하고 거기 있는 파일들을 다 끌어다 사용할 수 있는... 사용하는 것에 꼭 익숙해져야만 한다..

AWS-3Tier 2022.01.15

[AWS-3Tier] Terraform을 이용한 RDS의 생성

Tomcat을 깔다보니 갑자기 RDS 생성도 안 해놨던 게 생각나서,,,ㅋㅋㅋㅋㅋㅋㅋㅋ 황급히 RDS 생성에 관련된 포스팅을 작성한다............. RDS는 AWS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우리는 petclinic을 통해 rds서버와 was서버를 연동할 것이다. RDS는 생성하는데도 오래 걸리고, 삭제하는데도 엄청 오래 걸린다. 근데 체감상 콘솔보다 Terraform 으로 생성할 때가 더 빠른 것 같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부분!!! RDS는 요금이 무지막지하게 드니까.....사용하고나면 꼭 지워야 한다...... 안 그러면 진짜 큰일남.. 여튼 rds의 테라폼 코드는 다음과 같다. #DB생성 resource "aws_db_instance" "test_mydb" { allocated_storag..

AWS-3Tier 2022.01.07

[AWS-3Tier] Web/Was 서버에 apache, tomcat 설치하기

1. web - apache 설치 2. was - tomcat 설치 우선 앞전까지의 내용들을 모두 진행하고,, 이를 테라폼으로 리소스관리를 했다면 apply 한 번으로 아래와 같이 web/was/bastion , alb, nlb가 모두 생성된다. 우선 cmd 창을 통해 베스쳔으로 접속,,하기 전에 베스쳔으로 미리 개인키를 옮겨 놓자. #옮기는 이유? -> 베스쳔에서 web과 was 서버로 접속해야 하는데, 이때 개인키가 있어야만 접속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후.ssh 폴더로 이동 후, ssh -i 커맨드를 이용해 접속해주자. #커맨드 창에서 scp -i ssw.key ssw.key ec2-user@[베스쳔의 ip]:/home/ec2-user/.ssh cd .ssh ssh -i ssw.key ec2-..

AWS-3Tier 2022.01.07

[AWS-3Tier] Terraform을 이용한 Load balancer 생성

1. Load Balancer란? 2. alb와 nlb의 차이 3. Terraform을 이용한 구성 인스턴스까지 만들었으니 로드밸런서를 생성할 차례이다. 1. Load Balancer란? 로드밸런서는 서브넷으로 몰리는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리소스이다. 부하분산이라고도 불리운다. 마치 너무 많이 나온 장어구이집의 장어값을 더치페이 하는 것과 비슷한... 2. alb와 nlb의 차이 우리가 주로 쓰는 로드밸런서의 종류는 Application Load Balancer(이하 alb), Network Load Balancer(이하 nlb)가 있다. alb란 이름 그대로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하는 로드밸런서로, 외부에서의 트래픽을 받아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7계층인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 확..

AWS-3Tier 2022.01.06

[AWS-3Tier] Terraform을 이용한 VPC 및 인스턴스 생성

1. 기본설정 2. Terraform을 이용한 VPC 생성 3. Terraform을 이용한 instance 생성 1. 기본 설정 앞서 Terraform의 기본 구성을 끝냈으니 이제 리소스 생성을 위한 기본설정을 만들 차례이다. 먼저, Terraform의 모~~~~~든 리소스 구성은 전부 아래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영어 못 해도 된다...그냥 페이지에서 마우스 우클릭하고 자동번역으로만 봐도 충분하다.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aws/latest/docs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aws/latest/docs registry.terraform.io 나는 user밑에 terrafo..

AWS-3Tier 2022.01.04

Terraform과 AWS 연동 / Terraform을 위한 key 생성

Terraform도 설치했겠다.. 이젠 사용해볼 차례이다. - 목차 1. aws와 연동 2. terraform 사용을 위한 key 생성 우선 AWS와 연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부터 진행해준다. 1.1 AWS IAM 계정 생성 우선 서비스 옆의 검색창에 [iam]을 검색하고, 클릭해준다. 그 후 밑줄 쳐진 사용자 클릭 사용자 추가 클릭 요렇게 세부 정보도 설정해준다. 여기가 중요한데...사실 권한을 admin으로 주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만....실습용이라 admin으로 권한을 줬다. admin권한을 준 사용자는 root 사용자와 동등한 권한을 가진다고 보면 된다. 이후 태그는 건너뛰고, 이 화면까지 오면 된다. 여기서 엑세스 키 ID와 비밀 액세스키는 꼭 노트패드를 통해 적어 놓을 것!!!!!! 이거..

AWS-3Tier 2022.01.03

[AWS-3Tier] 회원가입 - VPC 생성

AWS에 관한 개념 정리도 할 겸 해서 천천히 올려보는 포스팅이다. 아예 맨~~처음으로 돌아가서 회원가입 직후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포스팅이 마무리될 즈음에는 좀 더 나은 모습이 되어 있길 바라며ㅎㅎ.. 1. 회원가입 회원가입은 해외결제가 되는 카드만 있으면 쉽게 진행된다. 위의 콘솔 화면에서부터 EC2 / VPC / RDS 등 모든 서비스에 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많이 친해져야 하는 화면이니 익숙해지자. 우린 VPC부터 시작해야 하니 VPC를 클릭해주도록 한다. 아 그리고 시작에 앞서 우리가 목표하는 아키텍쳐는 다음과 같다. 사실 그림과 달리 DB 쪽 VPC 피어링은 베스쳔 하나 더 두는 게 원래 Peering의 목적에 맞지 않을까 싶어 그렇게 진행할까 생각 중이다. 2. VPC 생성 VPC를 처음 ..

AWS-3Tier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