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3Tier

[AWS-3Tier] Terraform을 이용한 RDS의 생성

후루루탕후루 2022. 1. 7. 02:59

Tomcat을 깔다보니 갑자기 RDS 생성도 안 해놨던 게 생각나서,,,ㅋㅋㅋㅋㅋㅋㅋㅋ

황급히 RDS 생성에 관련된 포스팅을 작성한다.............

 

RDS는 AWS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우리는 petclinic을 통해 rds서버와 was서버를 연동할 것이다.

RDS는 생성하는데도 오래 걸리고, 삭제하는데도 엄청 오래 걸린다.

 

근데 체감상 콘솔보다 Terraform 으로 생성할 때가 더 빠른 것 같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부분!!! RDS는 요금이 무지막지하게 드니까.....사용하고나면 꼭 지워야 한다......

안 그러면 진짜 큰일남..

 

여튼 rds의 테라폼 코드는 다음과 같다.

#DB생성
resource "aws_db_instance" "test_mydb" {
  allocated_storage      = 20            #할당된 스토리지의 크기
  storage_type           = "gp2"         #스토리지의 타입
  engine                 = "mysql"       #사용할 데이터베이스의 엔진
  engine_version         = "8.0.23"      #엔진의 버전
  instance_class         = "db.t3.micro" #RDS 인스턴스의 인스턴스 유형
  name                   = "petclinic"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identifier             = "test"        #고유 식별자(프록시 때 사용)
  username               = "root"        #마스터db사용자의 사용자 이름
  password               = "petclinic"
  availability_zone      = "ap-northeast-2a"
  db_subnet_group_name   = aws_db_subnet_group.test_dbsg.id
  vpc_security_group_ids = [aws_security_group.sg_db.id]
  skip_final_snapshot    = true
  tags = {
    "Name" = "test-db"
  }
}
#DB서브넷 그룹
resource "aws_db_subnet_group" "test_dbsg" {
  name       = "test-dbsg"
  subnet_ids = [aws_subnet.test_pridb1.id, aws_subnet.test_pridb2.id]
}

 

 

황급히 생성한 rds는 바로 삭제해주도록 하고,,,,

내일은 petclinic의 배포 / web서버와 was서버의 연동을 다룰 예정이다.